FAT2급 자격증공부

유형자산 수익적지출 자본적지출

이슈팜 2025. 3. 17. 08:30
반응형
SMALL

유형자산

눈에 보이고 만질 수 있는 자산으로,

기업이 사업 활동을 위해 보유하는 물리적인 자산이야.

  (1) 토지 – 땅 (감가상각 X)

단, 토지라고 하여 모두 유형자산 처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투자의 목적이 있는 경우 투자자산 중 투자부동산으로 처리하고 건설회사가 건설을 목적으로 토지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재고자산(용지)로 계상해야한다. 

  (2) 건물 – 공장, 사무실 등 (감가상각 O)
  (3) 기계장치 – 생산에 사용되는 기계
  (4) 차량운반구 – 업무용 차량, 트럭
  (5) 공구와 비품 – 사무실 책상, 컴퓨터 등

  (6) 건설중인 자산- 유형자산의 건설을 위해 지출한 금액을 건설완료 전까지 처리하는 임시계정으로 건설이 완료되면 본래의 계정과목으로 대체 된다. 

 암기 TIP: "토건기차공비" (토지-건물-기계장치-차량운반구-공구와비품)

※ 토지와 건설중인 자산은 감가상각하지 않는다.!!!!!

1️⃣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란?

유형자산(토지, 건물, 기계 등)을 구입하거나 취득할 때 들어가는 총비용을 말해.

단순히 구매 가격뿐만 아니라 매입수수료, 운송비, 하역비, 시운전비, 설치비, 세금, 취득 세 , 토지정지비용 등 부대비용까지 포함돼!

 

 예시:

  • 기계장치를 1,000만 원에 구매했다면
    → 설치비 100만 원, 운반비 50만 원 추가 발생
     취득원가 = 1,000 + 100 + 50 = 1,150만 원

2️⃣ 유형자산 관련 지출의 구분

유형자산을 사용하면서 돈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지?

그런데 이 지출이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로 나뉘어!

시험에서도 많이 나오는 개념이니까 확실히 이해해야 해.


✔ 자본적 지출 (자산 처리)

유형자산의 가치가 증가하거나 수명을 연장시키는 지출


 특징

  • 자산의 가치를 증가시키거나
  • 내용연수를 연장시키는 지출
  • 유형자산 계정(자산 계정)으로 처리
  • 감가상각 대상이 됨

 예시

  • 건물 증축
  • 기계장치 주요 부품 교체 (예: 엔진 교체)
  • 노후된 설비를 최신식으로 업그레이드
  • 건물의 단열재 교체로 수명 연장

 결론: 자본적 지출은 "자산"으로 인식하고 감가상각을 통해 비용 처리함!


✔ 수익적 지출 (비용 처리)

유형자산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일반적인 지출


 특징

  • 자산의 가치를 증가시키지는 않음
  • 단순한 유지·보수 비용
  • 당기 비용(수익 비용)으로 즉시 비용 처리

 예시

  • 기계 정기점검 비용
  • 도색이나 벽지 교체
  • 건물 창문 청소 및 유리 교체
  • 기계장치의 윤활유 추가

 결론: 수익적 지출은 "당기 비용"으로 인식하고 즉시 비용 처리함!


🎯 자본적 지출 vs. 수익적 지출 정리

구분 자본적 지출 수익적 지출
목적 자산 가치 증가, 내용연수 연장 단순 유지·보수
회계처리 유형자산(자산)으로 기록 유지보수비(비용)으로 기록
비용 인식 시점 감가상각을 통해 점진적 비용 처리 발생 즉시 비용 처리
예시 건물 증축, 주요부품(기계 엔진) 교체 기계 정기점검, 도색, 현상유지, 소모품 교체

1. 수익적 지출을 자본적 지출로 잘못계산한 경우 

→  비용 과소 , 자산 과대 , 당기순이익 과대 

 

2. 자본적 지출을 수익적 지출로 잘못계산한 경우 

→  자산 과소 , 비용 과대, 당기순이익 과소 


 암기 꿀팁

📌 "자(산) 가(치) 연(장) 수(익적 지출) 유(지보수)"
 "자(본적 지출) = 자산 가치를 연장하는 것!"
 "수(익적 지출) = 유지보수만 하는 것!"

이렇게 외우면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이 헷갈리지 않을 거야! 🚀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