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자산
눈에 보이고 만질 수 있는 자산으로,
기업이 사업 활동을 위해 보유하는 물리적인 자산이야.
(1) 토지 – 땅 (감가상각 X)
단, 토지라고 하여 모두 유형자산 처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투자의 목적이 있는 경우 투자자산 중 투자부동산으로 처리하고 건설회사가 건설을 목적으로 토지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재고자산(용지)로 계상해야한다.
(2) 건물 – 공장, 사무실 등 (감가상각 O)
(3) 기계장치 – 생산에 사용되는 기계
(4) 차량운반구 – 업무용 차량, 트럭
(5) 공구와 비품 – 사무실 책상, 컴퓨터 등
(6) 건설중인 자산- 유형자산의 건설을 위해 지출한 금액을 건설완료 전까지 처리하는 임시계정으로 건설이 완료되면 본래의 계정과목으로 대체 된다.
✔ 암기 TIP: "토건기차공비" (토지-건물-기계장치-차량운반구-공구와비품)
※ 토지와 건설중인 자산은 감가상각하지 않는다.!!!!!
1️⃣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란?
유형자산(토지, 건물, 기계 등)을 구입하거나 취득할 때 들어가는 총비용을 말해.
단순히 구매 가격뿐만 아니라 매입수수료, 운송비, 하역비, 시운전비, 설치비, 세금, 취득 세 , 토지정지비용 등 부대비용까지 포함돼!
✅ 예시:
- 기계장치를 1,000만 원에 구매했다면
→ 설치비 100만 원, 운반비 50만 원 추가 발생
→ 취득원가 = 1,000 + 100 + 50 = 1,150만 원
2️⃣ 유형자산 관련 지출의 구분
유형자산을 사용하면서 돈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지?
그런데 이 지출이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로 나뉘어!
시험에서도 많이 나오는 개념이니까 확실히 이해해야 해.
✔ 자본적 지출 (자산 처리)
유형자산의 가치가 증가하거나 수명을 연장시키는 지출
✅ 특징
- 자산의 가치를 증가시키거나
- 내용연수를 연장시키는 지출
- 유형자산 계정(자산 계정)으로 처리
- 감가상각 대상이 됨
✅ 예시
- 건물 증축
- 기계장치 주요 부품 교체 (예: 엔진 교체)
- 노후된 설비를 최신식으로 업그레이드
- 건물의 단열재 교체로 수명 연장
➡ 결론: 자본적 지출은 "자산"으로 인식하고 감가상각을 통해 비용 처리함!
✔ 수익적 지출 (비용 처리)
유형자산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일반적인 지출
✅ 특징
- 자산의 가치를 증가시키지는 않음
- 단순한 유지·보수 비용
- 당기 비용(수익 비용)으로 즉시 비용 처리
✅ 예시
- 기계 정기점검 비용
- 도색이나 벽지 교체
- 건물 창문 청소 및 유리 교체
- 기계장치의 윤활유 추가
➡ 결론: 수익적 지출은 "당기 비용"으로 인식하고 즉시 비용 처리함!
🎯 자본적 지출 vs. 수익적 지출 정리
구분 | 자본적 지출 | 수익적 지출 |
목적 | 자산 가치 증가, 내용연수 연장 | 단순 유지·보수 |
회계처리 | 유형자산(자산)으로 기록 | 유지보수비(비용)으로 기록 |
비용 인식 시점 | 감가상각을 통해 점진적 비용 처리 | 발생 즉시 비용 처리 |
예시 | 건물 증축, 주요부품(기계 엔진) 교체 | 기계 정기점검, 도색, 현상유지, 소모품 교체 |
1. 수익적 지출을 자본적 지출로 잘못계산한 경우
→ 비용 과소 , 자산 과대 , 당기순이익 과대
2. 자본적 지출을 수익적 지출로 잘못계산한 경우
→ 자산 과소 , 비용 과대, 당기순이익 과소
✨ 암기 꿀팁
📌 "자(산) 가(치) 연(장) 수(익적 지출) 유(지보수)"
✔ "자(본적 지출) = 자산 가치를 연장하는 것!"
✔ "수(익적 지출) = 유지보수만 하는 것!"
이렇게 외우면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이 헷갈리지 않을 거야! 🚀
'FAT2급 자격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유동자산 무형자산 상각 (0) | 2025.03.17 |
---|---|
유형자산 감가상각 계산 방법 정액법 정률법의 차이 (0) | 2025.03.17 |
비유동자산 종류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 비유동자산 (0) | 2025.03.17 |
유동자산 당좌자산 선급금 선급비용 가지급금 (2) | 2025.03.04 |
FAT 2급 ,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암기 꿀팁 (2)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