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 비유동자산 중 무형자산 정리
1️⃣ 무형자산의 정의
👉 눈에 보이지 않지만(=물리적 형태가 없지만 식별가능하고 , 기업이 통제하고 미래 경제적 효익이 있는 비화폐성자산)
기업이 오랫동안 사용할 경제적 가치를 가진 자산!
※ 주의: 물리적 실체가 없는 판매용 자산 → 재고자산
👉 주로 특허권, 상표권, 영업권, 소프트웨어 등이 있음
👉 비유동자산에 속하며, 보통 일정 기간 동안 감가상각(=무형자산에서는 '상각'이라고 함)
2️⃣ 무형자산의 종류
1) 법적으로 보호받는 무형자산
- 특허권: 발명에 대한 독점적 권리
- 실용신안권: 간단한 기술적 아이디어에 대한 권리
- 상표권: 특정 상품이나 브랜드를 표시하는 권리
- 디자인권: 제품 디자인을 보호받는 권리
- 프랜차이즈(가맹권): 브랜드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
2) 계약이나 거래에서 발생하는 무형자산
- 영업권(권리금): 기업이 쌓아온 명성과 고객층에서 나오는 추가적인 가치
- 라이선스: 특정 기술이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
3) 기타 무형자산
- 소프트웨어: 기업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 개발비: 연구개발(R&D)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 중 자산화된 것
3️⃣ 무형자산의 상각방법
👉 유형자산은 감가상각을 하지만, 무형자산은 상각을 해!
👉 상각은 보통 정액법을 사용
👉 예외적으로 영업권은 일반적으로 상각하지 않고 손상검사만 수행
📌 정액법 공식

예시
- 상표권 취득 비용: 10,000,000원
- 내용연수: 10년
- 매년 상각비 = 10,000,000 ÷ 10 = 1,000,000원
4️⃣ 무형자산 회계처리 예시
1) 무형자산을 취득했을 때
(차) 특허권 20,000,000 / (대) 현금 20,000,000
✔ 특허권을 2천만 원에 구입 → 무형자산 계정으로 기록
2) 무형자산을 상각할 때 (정액법, 내용연수 10년 가정)
(차) 무형자산상각비 2,000,000 / (대) 특허권 2,000,000
✔ 매년 일정 금액을 비용 처리!
🔑 한 줄 정리!
✔ 무형자산 = 형태는 없지만 경제적 가치가 있는 비유동자산
✔ 종류 = 특허권, 상표권, 영업권, 소프트웨어 등
✔ 상각방법 = 주로 정액법 (영업권은 손상검사 적용)
✔ 회계처리 = 취득 시 무형자산 계정, 상각 시 비용 처리
반응형
LIST
'FAT2급 자격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익의 발생과 이연 미수수익 , 미지급비용, 선수수익, 선급비용 (0) | 2025.03.17 |
---|---|
유동부채 개념 정리 미지급금, 미지급비용, 선수금, 선수수익, 예수금, 가수금, 단기차입금 (0) | 2025.03.17 |
유형자산 감가상각 계산 방법 정액법 정률법의 차이 (0) | 2025.03.17 |
유형자산 수익적지출 자본적지출 (1) | 2025.03.17 |
비유동자산 종류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 비유동자산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