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동부채 & 비유동부채 개념 정리
1️⃣ 부채란?
👉 기업이 외부에 갚아야 할 채무(빚)를 의미!
👉 언젠가는 상환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금액
부채는 크게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나뉨!
2️⃣ 유동부채란?
👉 1년 이내(단기)에 갚아야 하는 부채
👉 단기적으로 상환할 의무가 있는 채무
📌 예시
👉 매입채무: 외상으로 물건을 샀을 때 갚아야 할 돈
(1) 외상매입금: 상품 및 원재료를 매입하고 대금을 나중에 지급하기로 하면 외상매입금
1. 상품매입시 , 상품(원재료) / 외상매입금
2. 외상대금지급시 , 외상매입금/현금
(2) 지급어음: 상품이나 원재료를 매입하고 대금을 약속어음으로 발행하여 지급한 경우 지급어음이라고 기입한다.
1. 상품 외 구입 외상거래 , 상품(원재료) / 지급어음
2. 상품 외 구입 어음수령 , 지급어음 /현금
매입 | |||
상품매입 외상거래 | 외상매입금 | 상품 외 구입 외상거래 | 미지급금 |
상품매입 어음수령 | 지급어음 | 상품 외 구입 어음수령 | 미지급금 |
매출 | |||
상품매출 외상거래 | 외상매출금 | 상품 외 매각 외상거래 | 미수금 |
상품매출 어음수령 | 받을어음 | 상품 외 매각 어음수령 | 미수금 |
👉 단기차입금: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은행 대출
👉 미지급금: 주요 상거래 외 (비품, 기계장치, 복리후생비 등) 매입 했지만, 아직 돈을 지급하지 않은 금액
👉 미지급비용: 급여, 이자 등 당기에 속한 비용이지만, 결산일까지 지급하지 못한 부분을 당기의 비용으로 계상
비용계정(임차료, 보험료 등) | 미지급비용 |
👉 선수금: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 전 계약금 성격으로 미리 수취한 금액(선수금 부채로 인식, 선급금 자산으로 인식)
- 계약금 수령시
(차) 현금 | (대) 선수금 |
- 매출시
(차)선수금 | 상품매출 |
(차) 외상매출금 |
👉 선수수익: 당기에 이미 받은 수익이지만, 차기에 속한 부분은 차기로 이연시킨다.
- 수익발생시
현금 | 수익계정 (임대료, 이자수익) |
- 결산시
수익계정 (임대료, 이자수익) |
선수수익 |
👉 예수금: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성격으로 급여 지급시 공제액인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사회보험의 근로자부담금 등을 말한다.
- 급여지급시
(차) 급여 1,000,000 | (대) 예수금 1,000,000 |
- 납부시
(차) 예수금 1,000,000 (본인부담금) |
(대) 현금 2,000,000 |
복리후생비 1,000,000 (회사부담금) |
👉가수금: 자급의 입금이 있었지만, 계정과목과 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사용하는 일시적인 계정
'FAT2급 자격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유동부채 퇴직급여충당부채 장기임대보증금 (0) | 2025.03.21 |
---|---|
손익의 발생과 이연 미수수익 , 미지급비용, 선수수익, 선급비용 (0) | 2025.03.17 |
비유동자산 무형자산 상각 (0) | 2025.03.17 |
유형자산 감가상각 계산 방법 정액법 정률법의 차이 (0) | 2025.03.17 |
유형자산 수익적지출 자본적지출 (1) | 2025.03.17 |